본문 바로가기
헬스케어.실버경제

[연도별 인구통계] 우리나라 인구 피라미드 분석지도

by 헬스-빌더 2022. 2. 16.
반응형

[연도별 인구통계] 우리나라 인구 피라미드 분석지도

 

 

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연도별 인구 피라미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연도별 지역별 인구수를 확인해보고, 피라미드 형태 변화를 체감해보고자 합니다. 단순히 인구수가 궁금해서 통계청에 들어가 살펴봤는데, 피라미드형태를 보니 느낌이 확 다릅니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인구 피라미드를 비교해보면서 어떤 사회를 그리고, 어떤 내가 될지 한번 상상해보시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2022년 전국 인구 추계피라미드

 

2022년 우리나라 인구피라미드입니다. 

(인구추계 중위입니다) 

 

총인구 51,628,117명입니다.

남자 인구는 25,790,370명입니다. 

여자 인구는 25,837,747명입니다.

성비(여자1백명당) 99.8입니다. 

평균 연령은 43.9세입니다. 

 

아래 피라미드 모형은 고령화사회로 이미 들어서있음을 보여줍니다.

조금만 더 지나면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하게 됩니다. 

하나 더 알 수 있는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심각한 저출산입니다. 

 

*1999년 이전 데이터는 80세 이상, 2000년 이후 데이터는 100세 이상까지 추계합니다.

 

 


시도 인구 추계 피라미드

2022년 현재 인구 피라미드입니다. 서울과 전라북도를 포함해보았습니다. 

서울에 젊은층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대 중반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딱 대학졸업시기에 맞물려,

전국의 청년들이 취업 및 돈벌이를 위해 수도인 서울로 몰려들었기 때문입니다. 

 

 

설정값상 가장 이른 연도인 1970년도로 설정해보았습니다. 

딱 피라미드 모형과 흡사합니다. 

현대의학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한 탓에 기대수명이 적은 것 보다는,

이 당시 인구수는 과거 일제강점기 시대와 한국전쟁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습니다. 

이후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한국 경제부흥시대에 접어들면서 출산율이 대폭 증가하게 됩니다. 

 

참고로, 

1962년부터 경제개발5개년계획이 시작되었고,

1970년에는 새마을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습니다. 

 

 

설정값상 가장 먼 미래인 2047년도로 해보았습니다.

피라미드 형태만 봐도 위태로워 보입니다. 

인구절벽으로 점점 근접해가는 중입니다. 

초초고령화사회는 과연 어떨지...  도심에서도 이젠 젊은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게 됩니다.  

전국 어디에서나 장년층과 노년층이 압도적으로 많게 됩니다. 

 

 


 

연도별 인구 추계피라미드

연도별 인구피라미드를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2022년도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 30년 단위로 구분해 봅니다. 

 

보시다시피, 

피라미드 모형 변화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1992년 과거 인구는 4천3백여만명으로, 평균연령은 30.2세였습니다. 

2022년 현재 인구는 5천1백여만명으로, 평균 연령은 43.9세입니다. 

2052년 미래 인구는 4천6백여만명, 평균 연령은 55.2세로 예측됩니다.  

 

052년도 피라미드 형태는 1992년도 피라미드를 마치 반대로 뒤집어 놓은 것과 같습니다.

심각한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절벽에다가, 초초고령사회로 들어선 것으로 보입니다. 

 

사회노동력의 근간이 되는 젊은층 인구가 압도적으로 적어짐에 따라, 장년층 노년층 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 엄청나게 가중될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30년 후에는 분명 5차~6차 산업이 발전해있을텐데, 구체적으로 상상이 잘 되지는 않습니다. 당연히 모든 산업에는 기계화 자동화가 되어 있을테고, 각종 로봇들을 사회와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게 될 거라 생각해봅니다. 

 

 

*아래 링크에서 인구피라미드 슬라이드기능으로 변화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sgis.kostat.go.kr/jsp/pyramid/pyramid3.jsp

 

움직이는 인구피라미드 | 분석지도

총인구  명  남자인구  명 여자인구  명 성비 (여자1백명당) 평균연령 세

sgis.kostat.go.kr


여기까지 우리나라의 연도별 인구수 및 인구피라미드를 알아보았습니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피라미드형태의 변화를 보고 어떤 느낌이 드셨는지 궁금하네요. 어느 영화처럼, 미래에는 인간이 더이상 육체노동을 하지 않아도 될 세상이 올까요? 의학의 고도발전으로 인간의 노화는 엄청 느려질까요? 그건 그때까지 살아봐야 알겠지요^^ㅎㅎ

모두 행복하길 기원합니다.  

반응형